EBS와 EFS 개념 정리
1. 용도 및 사용 사례
- EBS:
- EC2 인스턴스에 블록 수준 스토리지 볼륨 제공. 주로 영구적 데이터 저장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사용.
- EFS:
- 여러 EC2 인스턴스 간 파일 공유 및 동시 액세스 가능. 데이터 공유 필요 워크로드 및 애플리케이션에 적합.
2. 공유 및 확장성
- EBS:
-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, 개별 사용. 다른 인스턴스 간 스토리지 공유 불가.
- EFS:
- 여러 EC2 인스턴스 간 파일 시스템 공유, 동시 다수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액세스 및 공유 가능.
3. 장애 조치 및 가용성
- EBS:
- 단일 가용 영역 내 운영. 가용 영역 장애 시 데이터 손실 가능.
- EFS:
- 여러 가용 영역에 데이터 복제, 고가용성 제공. 가용 영역 장애 발생해도 데이터 손실 없음.
4. 용량 및 크기 조정
- EBS:
- 특정 크기 블록 단위 제공, 크기 확장/축소 가능. 인스턴스 종류에 따라 제한 있을 수 있음.
- EFS:
- 필요에 따라 자동 확장, 데이터 양 변화에 관리자 개입 없이 자동 조정.
5. 비용 모델
- EBS:
- 사용한 스토리지 용량 및 스냅샷 복사에 따라 비용 청구. 볼륨 유형 및 크기에 따라 가격 차이.
- EFS:
- 사용한 파일 시스템 용량 및 데이터 전송 비용에 따라 비용 청구.
EBS는 EC2 인스턴스에 블록 수준 스토리지 제공해 영구적 데이터 저장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사용. EFS는 여러 EC2 인스턴스 간 파일 공유 및 동시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로, 데이터 공유 및 분산된 워크로드에 적합. EBS는 단일 인스턴스용 스토리지 제공, EFS는 여러 인스턴스 간 파일 공유 필요 시나리오에 유용.
즉, 둘은 EC2 데이터 저장 스토리지로,
- EBS는 단일 인스턴스용.
- EFS는 여러 개 인스턴스에 걸쳐 사용됨.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INNER JOIN (0) | 2024.02.01 |
---|---|
ELB - ALB,NLB (0) | 2023.09.02 |
EC2랑 EBS의 차이 (0) | 2023.09.02 |
[백준] 6916번 - 0123456789 (Python) (0) | 2023.06.16 |
[파이썬(Python)]백준 2588번: 곱셈 (0) | 2023.01.28 |